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감소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감소와 같은 문제는 이제 많은 이들에게 화두가 되고 있다.

인간은 동물인가? 2025. 2. 8. 20:53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감소와 같은 문제는 이제 많은 이들에게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연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동물들을 연구하게 되었는데, 그중에서도 개미에 대한 연구는 40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개미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이지만, 그들의 행동과 사회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흥미롭다. 또한, 까치와 긴팔원숭이, 돌고래와 같은 다양한 동물들도 연구해왔다.

개미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오랜 연구 끝에 개미와의 유사성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았고, 이런 농담이 연구를 지속하는 동기 중 하나가 되었다. 개미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며, 특히 정글에서는 독을 쏘는 개미와 같은 흥미로운 종류들이 많다. 한 번은 총알개미에게 쏘여 기절하기도 했는데, 이런 경험들은 연구의 재미를 더해준다.

제인 구달 박사와의 인연도 특별하다. 그녀는 매년 약 300일을 세계 여러 나라를 순회하며 자연 보호 메시지를 전파하고 있다. 두 사람은 지구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회의를 자주 갖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깊이 있게 논의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런 연구와 활동을 통해, 자연계의 생물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관찰하게 되며, 인간 사회에도 많은 교훈을 준다. 한 예로, 2005년 호주제 폐지 운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당시 생물학자로서 동물 사회에는 호주제가 없다고 주장하며, 인간 사회의 불합리한 시스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호주제 폐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헌법재판소는 결국 호주제를 위헌으로 판결했다.

호주제가 폐지된 후, 법무부는 개인별 신분 등록제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법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여성의 권리를 높이고, 보다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협력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하버드에서 박사 과정을 하며 기숙사 사감을 맡았던 시절도 있다. 하버드 학생들은 공부와 사회생활을 균형 있게 하며, 성적에 대한 존경심이 덜한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경험과 관찰을 통해 생물학적 통찰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연구와 활동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자연과 인간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다원진화론 #종의기원 #진화론 #생물학 #자연선택 #종의다양성 #생물진화 #과학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