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교수-이렇게 진화생물학자가 되었다. 11

다양성의 중요성과 사회적 가치-최재천교수

다양성의 중요성과 사회적 가치저는 평생 자연의 다양성을 연구해온 사람입니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아름다움을 경험했지만, 최근에 본 다양성 중에서 가장 감동적인 순간이 있었습니다. 저는 대학 교수로 살아오면서, 3년간 국립생태원의 원장으로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행정의 어려움과 함께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김정은 위원장과 같은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인물들을 부러워하기도 했지만, 그런 사회는 결코 행복한 사회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창의성은 시끄럽고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적으로 나옵니다. 모든 것이 질서정연하고 똑같은 곳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오늘 저는 다양성이 왜 중요한지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코스타리카의 바나나 농장에서 경험한 일은 ..

자연의 다양성과 창의성의 중요성-최재천교수

자연의 다양성과 창의성의 중요성저는 평생 자연의 다양성을 연구해온 사람입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아름다운 장면들을 목격했지만, 그날 밤에는 정말 특별한 경험을 했습니다. 제가 본 것 중 가장 아름다운 다양성을 감상하며 많은 감정을 느꼈습니다.대학교수로 살아온 제 인생에서, 3년 동안 국가기관의 기관장으로 일한 적이 있습니다. 2013년, 충청남도 서천에 새로 설립된 국립생태원의 초대 원장으로 초대받아 어려운 행정을 경험했습니다. 약 500명의 직원들을 관리하는 일은 정말 힘들었고, 그런 과정 속에서 김정은 위원장 같은 강력한 리더들이 부러워지기도 했습니다. 그들의 조직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지만, 나는 그 사회가 결코 행복한 사회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창의성은 시끄러운 곳에서 ..

수학과 진화생물학: 연구의 가능성과 도전-최재천교수

수학과 진화생물학: 연구의 가능성과 도전내가 치고받고 할 것이 별로 없다는 생각을 하며 연구를 이어가는 동안, 지도 교수님과 같은 대단한 분들의 의견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진화생물학 분야는 매우 흥미롭고,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이지만, 수학을 잘하지 못한다고 해서 이 분야에서의 연구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사실, 나는 한국에서 수학을 잘하지 않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미국에 와서는 갑자기 '수학의 귀재'라는 소문이 퍼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내 연구에 대한 접근이 달라졌다. 수학적 이해는 분명히 도움이 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진화생물학에 대한 열정과 호기심이다. 학생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수학적 능력이 ..

민벌레 연구와 진화적 사고의 여정-최재천교수

민벌레 연구와 진화적 사고의 여정나는 민벌레와 개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곤충들이 어떻게 사회를 구성하며 살아가는지를 탐구하게 되었다. 민벌레 연구를 시작할 때, 내 주제는 사회성 진화였다. 해멀튼 교수님의 이론을 이어받아, 흰개미가 어떻게 사회를 구성하게 되었는지를 연구하려고 했으나, 당시에는 관련된 연구가 거의 없었다. 흰개미는 그때까지 분류학자들에 의해 민벌레의 사촌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DNA 검사 결과에 따르면 흰개미는 바퀴벌레의 사촌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흰개미는 사실상 사회성 바퀴벌레인 셈이다.이런 배경 속에서, 나는 민벌레 연구를 통해 사회성 진화의 과정을 규명하고 싶었다. 내가 민벌레의 생물학을 연구하면서, 실험실에서 이 곤충들을 키우는 방법을 개발했다. 현미경 아래에서 관찰하니, ..

민벌레 연구의 여정: 개미와의 특별한 인연-최재천교수

민벌레 연구의 여정: 개미와의 특별한 인연내가 하버드에서 공부를 마치고, 윌슨 교수님의 제자로서 연구의 길을 걸어가게 되었던 순간은 정말 특별한 경험이었다. 처음에는 작은 대학에서 가르치고 싶었지만, 여러 번의 지원 끝에 미시간 대학에 부임하게 되었다. 미시간 대학은 나에게 큰 기회를 주었고, 그곳에서 사회생물학 분야의 대가들과 함께 연구할 수 있었다. 교수님이 나를 "사다리를 제대로 밟고 올라온 친구"라고 소개했을 때, 그동안의 노력이 인정받았다는 느낌이 들었다.그 후, 나는 한국으로 돌아가 안식년을 맞으면서 해멀튼 교수님과의 연구를 기대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 해멀튼 교수님은 기생충학의 혁신을 이끌었던 분으로, 그의 이론은 나에게 큰 영감을..

인생의 전환점: 하버드에서 미시간으로, 그리고 새로운 연구의 시작-최재천교수

인생의 전환점: 하버드에서 미시간으로, 그리고 새로운 연구의 시작해멀튼 교수님과의 만남 이후, 나는 하버드 대학에서 윌슨 교수님의 제자로 공부하게 되었다. 하지만 작은 대학에서 가르치고 싶다는 바람이 있었고, 나는 스몰 리버럴 아츠 칼리지에 지원서를 넣었다. 그러나 여러 번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대학에 합격하지 못하고, 의기소침한 시기를 겪었다. 그러던 중, 뜻밖에도 미시간 대학에서 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미시간 대학은 사회생물학 분야에서 손꼽히는 대학교로, 내가 존경하는 교수님이 여전히 계셨다. 그 교수님이 나를 소개하며 "사다리를 제대로 밟고 올라온 친구"라고 하셨을 때, 나는 그동안의 노력과 고생이 인정받았다는 생각에 큰 감동을 받았다. 이제 나는 미시간 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을 이어갈 수 있..

영감의 순간: 해멀튼 교수와의 특별한 경험-최재천교수

영감의 순간: 해멀튼 교수와의 특별한 경험프린스턴 대학의 교수가 세미나를 한다고 하여, 나도 초대받았다. 점심을 준비하는 당번이었는데, 베이글에 크림치즈를 바르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 바르면서 실수로 하나가 바닥에 떨어졌다. 그 장면을 보며, 미국 사람들은 방 안을 치우지 않고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도 익숙한 문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교수님은 떨어진 베이글을 그냥 주워 바지에 묻힌 뒤 다시 테이블에 올려놓았다. 그 모습이 재밌기도 하고, 어떻게 말해야 할지 고민하게 만들었다.그러던 중 교수님이 봉투가 모자라다며 나에게 몇 개를 가져오라고 하셨고, 나는 그 요청을 받아들였다. 봉투를 가져가면서도 아까 떨어진 베이글이 어느 봉투에 들어갔는지 걱정이 되었다. 세미나실 앞에서 나눠주던 중, 나는 그 베이..

진화적 사고와 인생의 전환점: 해멀튼 교수와의 만남-최재천교수

진화적 사고와 인생의 전환점: 해멀튼 교수와의 만남이제 나는 미국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펜스테이트에 도착했을 때, 나는 수학에 관한 소문이 퍼져 있었다. 사람들이 나를 '수학의 귀재'로 부르기 시작했지만, 사실 나는 수학을 잘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수학 정도의 실력이었기에, 그런 소문이 퍼진 것이 이상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그 덕분에 해멀튼 논문을 설명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내가 준비한 세미나에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왔다. 한국에서 온 내가 해멀튼 논문을 설명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세미나실이 꽉 찼다. 나는 교수님과 함께 논문을 설명하며, 내 지식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 경험은 내 미국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교수님들은 나에게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내가 수업에서..

인생의 전환점: 진화적 사고와 사회적 질문들-최재천교수

인생의 전환점: 진화적 사고와 사회적 질문들사람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그들의 선택이 왜 우리를 힘들게 만드는지에 대한 질문은 언제나 나를 괴롭혔다. 어떤 사람들은 비합리적인 행동을 하면서도 오히려 그에 지지하거나 함께하는 이들이 있다. 이런 현상은 정말 궁금하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고 싶었다. 책을 읽는 동안, 이런 의문들이 하나의 실체로 정리되는 놀라운 경험을 했다. 그동안 느껴본 적 없는 흥분과 희열이 밀려왔다. 책을 읽고 난 후, 나는 마치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얻게 된 듯한 느낌이었다. 베란다에 서서 안개가 걷히고 집들이 드러나는 모습을 보면서, 나는 내 머릿속에서 정리가 되는 것들을 느꼈다. 이기적 유전자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함께 과학 서적 중에서 영원한 베스트셀러로 여겨..

학생 인권과 진화적 사고의 여정: 다윈을 만난 이야기-최재천교수

학생 인권과 진화적 사고의 여정: 다윈을 만난 이야기그 당시 대학 생활은 학생 인권이 매우 열악했던 시절이었다.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상황에서, 많은 불합리한 일이 자행되었다. 예를 들어, 대체 과목이 필요할 때, 대학에서는 학생의 요청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았다. 그때는 과목이 없어지면 재수강할 수 없었고, 학생들이 항의해도 대체 과목을 제공하는 등의 배려는 거의 없었다. 그래서 관악산으로 이사하면서 학과 이름이 바뀌고, 과목들이 많이 변경되었는데, 참으로 불편한 상황이었다.나는 4학년 때 최대한 많은 수업을 듣고, 좋은 성적을 얻어 겨우 3.0 이상의 GPA를 유지하며 유학길에 오를 수 있었다. 펜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 도착하자마자, 나는 동물에 관한 프로그램을 꿈꾸며 유학을 결심했지만, 현실은 내..